일정

제1017회 하우스콘서트 | 2024 아티스트 시리즈 1. 한문경, 김은혜(Percussion), 칭웬 샤오, 콘스탄티노스 발리아나토스(Piano)
- 일자
- 2024-03-18
- 시간
- 20:00
- 출연
- 김은혜, 한문경(Percussion), 칭웬 샤오, 콘스탄티노스 발리아나토스(Piano)
- 장소
- 대학로 예술가의집 3층 지도보기
- 관람료
- 일반 50,000원
- 문의
- 02-576-7061, 010-2223-7061
.jpg)
제1017회 하우스콘서트 in 예술가의집
2024 예술활동창작지원 선정 프로젝트 <2024 아티스트 시리즈>
일 시 ㅣ 2024년 3월 18일(월) 8시
출 연 ㅣ 김은혜, 한문경(Percussion), 칭웬 샤오, 콘스탄티노스 발리아나토스(Piano)
장 소 ㅣ 대학로 예술가의집 3층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동숭길 3 (동숭동 1-130)
회 비 | 50,000원 (*사전예약/80명)
예 약 | booking.naver.com/booking/5/bizes/1060998
문 의 | 02-576-7061, 010-2223-7061
후 원 |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BS문화재단
► 더하우스콘서트의 모든 공연은 '사전 예약제'로 진행됩니다.

PROGRAM
2024 아티스트 시리즈 1.
20세기의 퍼커션
타악기를 오케스트라에서 무대 앞으로 꺼내온 것은 20세기부터이다.
타악기의 역할이 커지기 시작한 초기 작품으로 조지 엔데일의 '발레 메카닉(1923)', 에드가르 바레즈의 '이오니제이션 (1929-1931)'등이 언급되는데, 각각 '발레 메카닉'은 피아노 4대와 타악기 10명, '이오니제이션' 은 타악기 13명이 등장하는 큰 편성의 작품들이다. 또한 벨라 바르톡의 '두 대의 피아노와 타악기를 위한 소나타(1937)'는 타악기 역할의 기틀을 만들어준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20세기를 지나면서 급속도로 발전한 건반 타악기 작품들과 다양한 타악기들이 종합적으로 사용된 최재혁 작곡가의 작품까지 만나보도록 한다. (글 : 한문경)
Yasuo Sueyoshi (1937-2018)
Mirage pour Marimba (1975)
Toshi Ichiyanagi (1933-2022)
Paganini Personal (1998)
Mark Applebaum (b.1967)
Entre Funérailles II for Vibraphone Solo (1999)
Jaehyuck Choi (b.1994)
Self in Mind IV for Percussion Solo (2020)
-Intermission-
Béla Bartók (1881-1945)
Sonata for 2 Pianos and Percussion, Sz.110 (1937)
1. Assai lento – Allegro molto
2. Lento, ma non troppo
3. Allegro non troppo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PROFILE
한문경 | June Hahn (Percussion)
뉴욕타임즈에서 마림바의 음색을 아름답고 담백하게 채색했다고 호평받은 한문경은 줄리어드음악원에서 학사, 석사, 파리국립음악원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했다. 만 10세에 당시 최연소로 독주회를 개최, 금호아트홀 영재, 영아티스트, 라이징스타 콘서트 등 여러 연주회를 가지며 서울시향, Tapiola Sinfonietta, 국립국악관현악단, 줄리어드 오케스트라, 창원시향과 협연하였고, 영국 왕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류재준의 마림바 협주곡을 녹음 후 앨범을 발매, 바르샤바 La Folle Journée 페스티벌에도 초청되어 협연한 바 있다. 또한 12세에 제1회 일본 마림바 콩쿠르 만장일치 1위, 파리 마림바 콩쿠르 1위, 월드 마림바 컴피티션 영탈렌트 상, 미국 MTNA 컴피티션 1위 및 야마하 특별상, 폴란드 현대음악 실내악 국제 콩쿠르 솔로 부문에서 2위 및 최고해석상을 수상하였다. 파리 페스티벌 프레쟝스, 폴란드 퍼커션뮤직페스티벌, 줄리어드 챔버 뮤직 페스티벌, 뉴욕시티 컴퓨터음악제(NYCEMF) 등 다양한 무대에 초청되어 연주, 통영국제음악제, 평창대관령국제음악제 등에서도 초청받아 활동한 바 있다. 2011년 발매된 Eric Sammut의 앨범 'Sailing in Seoul'에 마림비스트 및 퍼커셔니스트로 참여, 한국의 전통악기 피리 주자 가민과의 듀오 앨범 ‘Juxtaposition’(2008)을 제작했고 2008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선정 '올해의 주목할 예술가'로 선정되었다. 어린 시절 고아원, 양로원 등에서 연주하며 봉사했던 한문경은 2010년 퍼커셔니스트 김은혜와 타악 듀오 '모아티에’를 창단해 수익금의 절반을 기부하며 활동 중이고, Ensemble TIMF의 정단원으로도 활동하며 현존하는 작곡가들과 협업하여 새로운 작품을 활발히 소개하고 있다. 현재 톈진 줄리어드 음악원(Tianjin Juilliard School)에서 교수로 재직,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김은혜 | Eunhye Kim (Percussion)
퍼커셔니스트 김은혜는 예원학교 최초 타악 전공 입학, 서울예술고등학교 재학 중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 입학, 파리국립음악원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다. 중학교 재학 시절 대한민국 타악기 콩쿠르에서 전체 부문 대상(문화체육부 장관상) 수상 후, 제1회 일본 마림바 콩쿠르와 제4회 월드 마림바 컴피티션에서 입상, 제10회 폴란드 국제 현대 음악 콩쿠르 솔로 부문에서 1위를 수상하였다. 코리안심포니, 서울시향, 수원시향, 충남시향, 광주시향 등과 협연하였으며,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PerKumania International Percussion Festival in Paris에 초청받아 독주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타악 축제인 대만 국제 퍼커션 컨벤션에 아시아 최고 여성 마림비스트로 초대되어 연주, 이듬해 대만 마림바 콩쿠르에 심사위원으로 초청되었다. 서울국제컴퓨터음악제, 평창대관령음악제에서 연주자로 활동하며 탁월한 음악적 해석을 선보이고 있으며 New Music Group Project21AND의 단원으로 한국 작곡가의 작품을 만나고 있다. 특히 타악 듀오 모아티에로 활동하며 다양한 타악기 작품을 선보였으며, 2012년부터 매년 모아티에 프로젝트를 기획하며 새로운 무대를 선보이고 있는 그는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칭웬 샤오 | Ching-Wen Hsiao (Piano)
피아니스트 칭웬 샤오는 16세에 필리핀 세부 유스 오케스트라와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제1번을 연주하며 솔리스트 데뷔 무대를 가졌다. 줄리어드 음악원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그는 바이올리니스트 Cho-Liang Lin 등 세계적인 뮤지션들과 협엽하며 뉴욕 카네기홀, 데이비드 게펜 홀, 스타인웨이 홀, 라비니아 스테인즈 인스티튜트, 뮌헨 스타인웨이 하우스의 루빈스타인 살, 타이완 콘서트홀 등 세계 각지에서 연주했을 뿐만 아니라, 대만 피아노 컴퍼티션, 지나 바카우어 피아노 컴퍼티션 등 유수 콩쿨에서 1위에 입상하기도 하였다. 스타인웨이 아티스트에 선정되기도 한 피아니스트 샤오는 줄리어드 예비학교, 카네기멜론 대학교 예비학교 교수를, Southeastern University와 West Virginia University의 조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톈진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콘스탄티노스 발리아나토스 | Konstantinos Valianatos (Piano)
피아니스트 콘스탄티노스 발리아나토스는 자일러 피아노, 엘브리자, 세니갈리아, 산 제미니, 아스펜 뮤직 페스티벌 컴피티션 등 다양한 국제 콩쿠르에서 수상하였으며 실내악 연주자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그는 그리스 국립 음악원과 파리 에꼴노르말 음악원을 졸업,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지나 바카우어, 야마하, 오나시스, I.K.Y., 조지 앤 마리 버고티스 재단, 그리고 스타르 재단 등으로부터 많은 장학금을 받았다. 미국의 백악관, 파리의 살레 코르토, 카네기홀, 뉴욕의 코지오스코 재단, 아스펜의 베네딕트 뮤직 텐트와 해리스 콘서트홀,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의 조단 홀, 노트르담 대학교의 오닐 홀, 어빙 아트센터, 갈란드 심포니 오케스트라, 테살로니키 메가론, 아테네 메가론 등 다양한 공연장에서 연주하기도 한 그는 Agathe Leimoni, Germaine Mounier, Jerome Lowenthal, Julian Martin, and Yoheved Kaplinsky을 사사하였고, 현재 톈진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