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415회 하우스콘서트 ㅣ 2014. 10. 24(금) 8시 – Trio Grisart with Caspar Frantz
일자
2014-10-24
시간
20:00
출연
장소
관람료
일반 0원
문의
02-576-7061, 010-2223-7061
  • 상세정보
  • 예매안내



제415회 하우스콘서트

일    시 ㅣ 2014년 10월 24일(금) 8시

출    연 ㅣ Trio Grisart with Caspar Frantz
             




PROGRAM

Sandor Veress (1907-1992)  
String Trio for Violin, Viola and Cello(1954)
Ⅰ.  Andante
Ⅱ.  Allegro molto

Hyacinthe Jadin (1776-1800)        
String Trio for Violin, Viola and Cello in G Major, Op.2, No.2
Ⅰ.  Allegro
Ⅱ.  Menuet
Ⅲ.  Finale : Allegro
 

-Intermission-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Piano Quartet No.2 in E-flat Major, K.493
Ⅰ.  Allegro
Ⅱ.  Larghetto
Ⅲ.  Rondo : Allegretto





PROFILE

Trio Grisart
트리오 그리자(Trio Grisart)는 이미 알려진 곡보다는 아직 빛을 보지 못한 명작을 발굴하는 작업에 무게를 두고 활동하는 앙상블이다.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로 구성된 독특한 편성은 쉽게 접할 수 없는 현악 삼중주 곡의 아름다운 선율을 선사한다. 2012년에 결성되어 더욱 많은 관객에게 다가가기 위한 꾸준한 노력, 예술음악의 보급, 작곡과들과 협업, 새로운 레퍼토리에의 도전, 다수 연주자와의 협연, 보다 좋은 공연을 위한 음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트리오 그리자는 3개국을 대표하는 연주자인 한국의 바이올리니스트 윤여영, 오스트리아의 비올리스트인 마누엘 호퍼, 캐나다의 첼리스트 데이비드 에거트로 구성되어있다. 멤버들은 세계적인 음악가 라이너 슈미트, 클레멘스 하겐, 루카스 하겐, 발터 레빈, 죄르지 쿠르탁, 에버하드 펠츠, 가보르 타카치 나기, 로버트 레빈 및 줄리아드 현악 사중주단, 모자이크 현악 사중주단, 아마데우스 현악 사중주단, 빈 현악 육중주단의 단원을 사사했으며, 현재 하겐 현악 사중주단의 라이너 슈미트와 음악학자 펠릭스 린덴마이너와 Wolfgang Budde로부터 자문을 받고 있다.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한국, 그리스와의 공연이 예정되어있으며, 피아니스트 카스퍼 프란츠와의 앨범발매(드보르작의 피아노 4중주-Ars 레이블)와 다수 공연이 예정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6월, 음악계의 거장인 메나헴 프레슬러와의 슈만 피아노 콰르텟 공연이 잘츠부르크에서 예정되어있다.

_윤여영(Violin)
바이올리니스트 윤여영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 과정 중 자카 브론에게 발탁되어 12세에 도독하여 쾰른 음악대학에서 음악적 경험을 쌓았다. 폴란드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주니어 부문, 알베르코 쿠르치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등의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했으며, 마데이라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2등상 및 Alois Kottman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1위에 올랐다. 그 후 아시아와 유럽 각국을 무대로 그 활동범위를 넓혀나가며 솔로이스트로서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바덴바덴 필하모니, 만국연합필하모니, 산카를로 오케스트라, 체르니고프 심포니오케스트라, 서울바로크합주단과 협연하였다. 뿐만 아니라 유수 연주자 및 앙상블인 피터 도노호, 메나헴 프레슬러, 쿠스 콰르텟, 엔델리온 콰르텟과 협연했으며 세이지 오자와 페스티벌에 참여하기도 했다. 현재 하겐 콰르텟의 라이너 슈미트를 사사하며 베르곤치가 제작한 1744년산 크레모나의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유럽을 주무대로 활동하고 있다.

_Manuel Hoferㅣ마누엘 호퍼(Viola)
오스트리아 그라츠 출신의 마누엘 호퍼는 Robert Rottensteiner, Siegfried Fuhrlinger, 토마스 리블, 라르스 안데르스 톰테르, 타베아 짐머만을 사사했으며 킴 카쉬카쉬안, 바바라 베스트팔, 미겔 다 실바의 마스터클래스를 수강하며 성장했다. 그의 실력은 프리마 라 무지카 우승, 빈교향악단의 안톤브루크너상 수상, 브람스 국제 콩쿠르와 라이오넬 터티스 콩쿠르 우승을 통해 일찍이 입증된바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2005 오스트리아 클래식 음악상인 Gradus ad Parnassum 비올라부문 우승과 전부문의 우승자 중 최우수 연주자에게 수여하는 Grosse Solisten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은 콩쿠르 15년 역사상 유일한 비올리스트이기도 하다. 솔로이스트로서 그는 볼차노 하이든 오케스트라, 린츠 브루크너 관현악단, 비엔나 예네쎄 오케스트라, 아테네 카메라타, 판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빈실내관현악단과 협연했으며, 이자이 콰르텟, 보글러 현악 사중주, 아르티스 콰르텟, 빈 현악 6중주단, 아마데우스 현악 사중주단, 모자이크 사중주단 등의 앙상블과 Valerya Servansky, 죄르지 쿠르탁, 에버하드 펠츠와의 작업을 통해 음악적 영감을 받았다. 아르미다 콰르텟, Quartour Ardeo, Trio Image를 거쳐 현재는 슈투트가르트실내관현악단, 빈실내관현악단, 카메라타 베른, 로잔느 챔버 오케스트라, 베를린의 칼레이도스코프 앙상블의 수석 바이올리니스트로서 활동하고 있다.

_David Eggert l 데이비드 에거트(Cello)
유럽, 미주, 러시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캐나다 출신 첼리스트 데이비드 에거트는 타냐 프로차즈카, 클레멘스 하겐, 매트 하이모비츠를 사사하며 음악적 깊이를 더했으며, 현재까지 마리노 포르멘티, 라이너 슈미트, 베로니카 하겐, 벤자민 슈미트, 파벨 기릴로프, 메나헴 프레슬러와 협연한바 있다. 주요 활동으로는 2008 안토니오 야니그로 국제 첼로 콩쿠르, International Domnick Cello Competition of New Music에서의 우승, 뉴욕 나움버그 국제 첼로 콩쿠르, 독일 마르크노이키르헨 국제 콩쿠르에서의 입상 등이 있다. 그는 클래식과 현대음악의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유럽 및 북아메리카의 다수 페스티벌에서 현대음악 작곡가들의 작품 초연 및 새로운 레퍼토리의 클래식을 선보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실험음악의 선구자들과 함께 활발한 작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Caspar Frantzㅣ카스파 프란츠(Piano)
1980년 독일 킬 출생의 카스파 프란츠는 함부르크와 데트몰트를 거쳐 현재 로스톡 국립음악대학에서 마티아스 키르슈너라이트를 사사하고 있다. 그는 Renate Kretschmar-Fischer의 지도하에 음악적으로 성장했으며, 엘리자베스 레온스카야, 칼 하인츠 캠머링, 마리아 조앙 피레스의 마스터클래스를 수강하며 자신만의 색깔을 만들어나갔다. 독일 라인가우 음악축제에서 데뷔한 후 솔리스트로서 폴란드 실내관현악단, 청년 독일 필하모니, 뉴 베스트팔렌 필하모니, 몰도바 필하모니, 베를린 칼레이도스코프 앙상블과 및 지휘자 미하엘 잔데를링이 이끄는 MDR심포니와 협연했으며, 클로에 한슬립, 라이너 쿠스마울, 자비네 마이어, Chen Halevi, 마르셀로 니시만, 브라이언 터펠, Quatuor Ardeo, 보글러 현악 사중주와 협연하기도 했다. 죄르지 쿠르탁, 페렌츠 라도스과 함께 작업하며 예술적 영감을 받은 그는 2006년 멘델스존 국제콩쿠르, Freunde junger Musiker 실내악상, Deutsche Stiftung Musikleben과 프레미오 비토리오 구이 국제 실내악 콩쿠르에서 특별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