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제85회 하우스콘서트 | 무성영화와 즉흥음악
일자
2005-04-29
시간
20:00
출연
박창수(Piano) | F.W.Marnau: Nosferatu, 1922, 81min
장소
연희동 자택 지도보기
관람료
일반 20,000원
문의
02-576-7061, 010-2223-7061
  • 상세정보
  • 예매안내


제85회 하우스콘서트


일    시 ㅣ 2005년 4월 29일(금) 8시
출    연 ㅣ 박창수(Piano) | F.W.Marnau: Nosferatu, 1922, 81min

 


PROGRAM



이번엔 하우스콘서트에서는 처음으로 무성영화에 즉흥음악을 곁을여 보려고 합니다. 어떤 영화를 택할지는 공연 직전에 결정하게 될 거 같네요. 아님 혹시 여러분이 요청하는 무성영화를 하면 어떨까도 생각해 볼테니 추천해 주셔도 됩니다.

# 결국 10여편의 영화들 중 무르나우 감독의 Nosferatu 를 하기로 결정 했습니다. 꼭 하고 싶던 작품들이 있었으나 한글자막이 없다든지 화질이 너무 나쁘다던지 시간이 너무 길다든지 하는 이유로 결정을 못하다가 마지막으로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와 노스페라투 중 고민고민하다 결정 하게 됐습니다. 최초의 흡혈귀 영화이지만 지금 보면 그렇게 무섭지는 않으니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



영화 Nosferatu
흡혈귀 영화의 대표적인 고전이자 독일 표현주의의 결정체인 무성영화. 빛과 그림자 를 이용한 공포 분위기 조성과 이중 노출 등 실험적인 방법들이 다양하게 사용되었고 기하학적인 세트 역시 영화의 움울한 분위기를 살려준다. 1922년에 제작된 작품으로 가장 시적인 분위기의 공포영화이다. 흡혈귀 영화의 고전이 된 이 영화는 할리우드 공포영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벗겨진 머리, 쥐처럼 생긴 같은 얼굴, 길게 뻗은 손톱. 흡혈귀[노스페라투](1922)의 모습이다. 흡혈귀 영화의 원조격인 "노스페라투"는 드라큘라를 비롯한 일반적인 흡혈귀와는 다르다. 노스페라투는 정통 흡혈귀 자세에 충실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영화 노스페라투는 사실적 묘사나 연출대신 주관과 개성이 강하게 표출되는 독일 표현주의에 입각해 음산하고 괴기적인 분위기가 영화를 가득 채우고 있다.

* Nosferatu 란...
카인의 아이들은 저주받은 자라고 불리지만, 뱀파이어들 중에서도 노스페라투 일족이 가장 비참한 모습을 보여준다. 다른 뱀파이어들은 여전히 인간으로 보이고, 인간의 사회속에서 살아감에 비해서, 노스페라투는 뱀파이어의 저주로 일그러지고 끔직한 몰골을 보인다.

* 줄거리...
허터는 부동산 중개인인 노크의 밑에서 일하면서 아름다운 아내 엘렌과 함께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 어느 날 노크가 올록 백작으로부터 편지를 받게 되면서, 허터의 인생에는 검은 그림자가 드리운다. 편지에는, 올록 백작이 인적이 드문 곳에 아름다운 집을 사고 싶다는 내용이 담겨있는데, 편지를 읽고 큰 돈을 벌 생각에 가슴이 부푼 노크는 허터에게 백작이 사는 곳으로 가서 거래를 성사시키라고 한다. 허터는 백작이 사는 성으로 가서 백작을 만나고 그가 흡혈귀란 사실을 알게 되지만 도망칠 수가 없다. 올록 백작은 허터를 가두어 두고, 그의 피를 천천히 빨아먹는데, 어느 날 백작이 위스보그로 떠나자 허터는 성에서 탈출해 집으로 돌아온다. 허터의 마을에서는 흡혈귀 백작 때문에 사람들이 하나둘씩 죽어가고, 엘렌은 허터가 가지고 온 책을 보고 순결한 여자가 흡혈귀를 아침까지 잡아두면 그를 처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결국 엘렌은 백작을 유인해서 아침까지 잡아두고, 태양이 비추자 백작은 마침내 죽고 만다.

<노스페라투>가 보여주는 것은 흡혈귀가 어둠속에서 튀어나올수 있다는 사실이 아니다. <노스페라투>는 저기 보이는 곳에서 악이 죽음을 자양분 삼아 자랄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노스페라투>는 암과 전쟁, 질병과 광기,등 새벽 세시에 잠에서 깨어난 우리 모두의 걱정거리를 다룬 영화다. 이 영화는 그토록 음산한 공포를 스타일리쉬한 비주얼로 보여준다. 영화의 대부분은 어둠 속에서 촬영되었다. 무르나우는 스크린의 모서리를 아주 비범하게 활용한다. 캐릭터 들은 스크린의 모서리에 숨어 있거나 웅크리고 있다. 촬영 대상이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벗어날 경우 긴장이 조성된다는 것이 화면 구도의 원칙이다. 올록의 하인의 빠른 몸놀림, 유령마차의 사라짐, 불쑥등장하는 백작의 모습, 검은 하늘을 등진 흰 나무를 보여주는 네거티브 필름의 활용 등, 무르나우의 특수 효과는 불안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킨다. -로저 에버트 그의 저서"THE GREAT MOVIES" 중-